분류 전체보기
-
상상력의 한계가 생각의 한계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 2012. 10. 6. 15:42
"존재하지 않는 것을 상상할 수 없다면 새로운 것을 만들어낼 수도 없으며, 자신만의 세계를 창조하지 못하면 다른 사람이 묘사한 세계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 - 화가 폴 호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상상할 수 없다면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없습니다. 상상을 해야 상상한 것이 현실로 이루어집니다. 하늘을 나는 꿈을 꾸지 않았다면 인간은 결코 비행기를 만들 수 없었을 것이고 지금까지도 우리는 하늘을 날 수 없었을 것입니다. 상상력이란 ‘인간은 날 수 없다’는 상식에 도전하여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해 보여도 가능성을 꿈꾸는 것입니다. 이러한 상상력이 현실에서 실현될 때 인간은 기존 세계에만 머물지 않고 새로운 세계로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좀 더 큰 이미지로 볼 수 있습니다] 상상력의..
-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인가?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 2012. 10. 2. 14:42
흔히들 '필요가 발명의 어머니'라고 합니다만 그 말은 절반만 사실입니다. 필요가 발명으로 이끄는 것도 사실이지만 한편 우리는 구체적으로 무엇이 필요한지 알지못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현대인의 생활에 필수요소가 된 인터넷이 출연하기 전까지 우리는 그것을 떠올리지도 못했다는 것이 한가지 사례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혁신의 패러독스'가 설명해줍니다. 혁신의 패러독스는 '위대한 아이디어가 나오기 전까지 우리는 그 필요성을 좀처럼 느끼지 못하지만 일단 아이디어가 현실에서 구체화되면 우리 일상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어진 여건에 대한 필요를 넘어 아무도 생각하지 못했던 새로운 필요나 혁신을 만들어 내는 것은 호기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좀 더 큰 ..
-
호기심을 품고 산다는 것은?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 2012. 7. 2. 12:13
• 오늘은 창조적 사고나 문제해결의 과정에서 진정한 호기심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우리가 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제대로 이해하고 거기에 숨겨진 문제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어린아이와 같이 어떠한 것도 당연시 하지 않는 호기심 충만한 마음상태가 필요합니다. 세상에 대한 호기심을 갖지 못한다는 우리가 남들이 만들어 놓은 세상에서 남들이 보고, 느끼고, 생각한대로 수동적으로 세상을 살아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린아이와 같은 순수한 호기심을 되살릴 수 있을 때 우리는 지금까지의 수동적인 삶의 태도에서 벗어나 주도적인 삶의 태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린아이와 같은 호기심을 갖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호기심에 더하여 현상을 적극적으로 관찰하고 이렇게 얻은 결과를 우리가 여태까지 살아오면..
-
구글TV, 마침내 구글플레이 품었다산업 - ICT and more 2012. 7. 1. 13:52
6월 28일(현지시각) 구글은 연례 개발자회의(I/O)를 진행하며 자체 애플리케이션 장터인 '구글플레이'를 구글TV에도 지원할 계획이라고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아울러 올 여름부터 구글플레이에서 쇼프로그램을 비롯한 TV 콘텐츠를 판매할 계획이라고 공개했다. 구글은 TV 콘텐츠 확보를 위해 NBC유니버셜, 소니픽처스, 디즈니, 브라보, 파라마운트, 버질필름, 선댄스 등 여러 TV 스튜디오와 손잡았다고 공개했다. 구글플레이는 그간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비롯, 영화, 음악, 전자책 등 콘텐츠를 판매, 또는 대여해 왔다. 그러나 구글은 그간 안드로이드 마켓의 콘텐츠 활성화를 위해선 TV 프로그램 확보가 결정적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아울러 구글플레이에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지원, 사용자가 보유한 모든 안드..
-
헛된 노력은 없다 - 5년을 땅속에서 자라는 대나무와 양자비약가슴 속 문장 하나 2012. 6. 25. 00:43
중국에는 모죽毛竹이라는 대나무가 있다고 합니다. 이 대나무는 심은지 5년이 되도록 아무리 물을 주고 가꾸어도 싹을 틔우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러나 5년이 지나면 싹을 틔우고 하루에 수십 센티미터씩 자라 단 6주만에 30미터까지도 자라는 가장 굵고 우람한 대나무가 된다고 합니다. 더 놀라운 것은 5년이 될 때까지는 어둠뿐인 땅속에 깊게 뿌리를 내리면서 놀라운 성장을 준비하기 때문에 어떠한 비바람에도 쓰러지지 않을 수 있다고 합니다. 물리학에도 이 대나무의 성장과 비슷한 이론이 있습니다. 양자비약 또는 대도약 Quantum Jump 또는 Quantum Leap 이라는 것입니다. 핵의 주위를 도는 전자가 궤도를 변경할 때 에너지를 얻음에 따라 조금씩 궤도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에너지의 100%를 모두..